세계경제포럼(WEF)의 환경지속성지수에서 하위권으로 평가된 것과 관련, 환경부는 상위권 진입을 노린 환경지수 개선작업에 박차를 가한다.


WEF은 최근 스위스 다보스에서 발표한 환경지속성지수(ESI)에서 우리나라를 세계 146개국 중 122위로 평가,국가 차원의 경각심을 일깨웠다.


6일 환경부에 따르면, 비교 기준의 ESI 지수는 인구밀도, 국토면적과 같은 자연환경 조건을 바탕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노력 등을 평가하는 국제평가지수로 설명된다.


체크 리스트는 환경의 질, 환경오염 부하량, 환경 위해성, 사회·제도적 대응능력, 국제적 책임공유의 5개 분야, 21개 지표, 76개 항목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고등학교 진학률 1위, 영양 결핍률 1위, 디지털 접근지수 3위, 과학분야 지적생산 4위, 여성 초등교육률 6위, 5세 이하 사망률 7위, 재활용률 10위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와 달리,석탄소비량 144위, 자동차 대수 138위, 이산화황(SO2)의 143위로 평가된 대기오염 부하량 부분에서 취약성을 보였다.


그 외 산성화 지역비율은 144위, 비료와 농약사용량은 각각 138,143위에서도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해 우리나라는 사회·제도적인 대응능력이 기존의 30위→18위, 국제적인 책임공유 123위→78위, 환경의 질 140위→137위로 부분 상승한 반면, 환경 위해취약성 21위→67위, 환경오염 부하량 138→146위로 하락을 기록했다.


좁은 국토면적과 같은 한계로 인해 환경적 여건에서 취약성을 보였다는 분석이며, 일부 항목에서는 평가의 불합리성도 제기됐다.


올해 신설된 자연재해 취약성의 134위 지표는 홍수, 태풍, 가뭄 등의 재해노출 빈도와 이에 따른 사망률을 평가하는 것으로,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아시아는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했다.


포유류 전체 종을 산정할 때는 제외됐던 고래가 멸종위기종을 선정할 때는 포함돼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비율이 높게 산정됐다는 평가다.  


한편, 정부는 환경지속성지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관계부처 합동의 대책팀을 꾸려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에 미흡한 평가를 받은 부분은 개선하고 통계자료를 최신으로 갱신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정책총괄과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는 국토와 자원관리 도모, 저탄소형 산업구조로의 개편, 자원순환형 사회구현을 위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펼치겠다”고 밝혔다. <권병창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