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 제주해군기지 주변 연산호 훼손을 부정했던 해군이 은밀하게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군 스스로 연산호 군락지 훼손을 인정한 셈이다.

강정마을회와 제주연산호조사 TFT 등은 2일 공동성명을 내고 서귀포시 강정마을 앞바다 산호충류 훼손과 보전에 관한 로드맵 작성을 정부에 촉구했다.

강정등대 공사 전(위)과 후(아래) <사진제공=제주연산호TFT>



이들 단체에 따르면 해군본부는 지난해 성균관대학교 조사팀에 용역을 의뢰해 해군기지 건설로 인한 강정등대 연산호 훼손을 확인하고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해군은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가 착수된 2011년부터 연산호 모니터링 결과보고서를 제출했지만 연산호 군락지의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연산호TFT가 입수한 보고서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변 천연보호구역 연산호 생태 사후조사(해군본부, 2015년 10월)’는 제주해군기지 공사로 인한 연산호 훼손을 최초로 밝히고 있다.

보고서는 문화재청이 2014년 6월 해군 측에 요구해 진행한 용역사업으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 내용을 담고 있다.

성균관대 조사팀은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는 3개의 임팩트(Impact) 지역(강정등대, 기차바위, 범섬)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경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나타났다”며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했으며 특히 최우점종인 분홍바다맨드라미의 상대적 감소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강정등대 공사 전(위)과 후(아래) <사진제공=제주연산호TFT>



밤수지맨드라미, 검붉은수지맨드라미, 자색수지맨드라미 등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과 문화재청과 환경부가 각각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한 해송류 역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해군본부의 용역을 받은 성균관대 조사팀의 연구 결과는 강정마을회 등으로 구성된 ‘제주연산호TFT’가 수년간 제주 강정 앞바다 연산호 모니터링을 통해 발표한 내용과 같다.

그동안 해군은 시민단체의 우려에 대해 해군기지로 인한 연산호 훼손은 없다고 주장해왔다. 멸종위기종과 천연보호구역의 관리와 보전의 책임이 있는 환경부와 문화재청 역시 해군의 손을 들어줬다.

연산호 조사 TFT는 “연산호 훼손이 심각해지면서 해군은 지난해부터 연산호 복원을 향후 3년간 추진하겠다는 계획 하에 테트라포트 12기를 강정등대 해상에 몰래 투입하고 인공복원을 시도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러한 복원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검증된 바는 없다”고 비판했다.

성균관대 조사팀 역시 보고서를 통해 “방파제용 TTP를 해양 저서생물 군집복원용으로 사용한 사례는 아직 국내외적으로도 없어서 실험적 시도”라며 ‘선택사항’으로 제안하고 있다.

연산호 조사 TFT는 “지금이라도 환경부는 멸종위기 산호충류의 훼손과 보전에 관한 로드맵을 작성해야 한다”며 “해군이 추진하는 연산호 복원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강정마을회가 참여하는 중장기적인 보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