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전우회 신현돈 회장은 환경은 피해 복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며 예방과 사후조치를

강조했다. <사진=정흥준 기자>



[육군회관=환경일보] 정흥준 기자 = 최근 연이어 발생한 AI와 구제역으로 가금류 약 3300만마리와 소 1425마리가 살처분 됐다.

살처분이 늘어나면서 가축 매몰지도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일각에서는 매몰지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지난 2월21일 ‘가축전염병 전주기 통합관제를 위한 축산환경개선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구제역·AI 매몰지 정상화 추진위원회와 특전사전우회 농축산 환경개선 지원단의 주최로 마련됐다.

▲구제역·AI 매몰지 정상화

추진위원회 김용호 상임대표

매몰지 정상화 추진위원회 김용호 상임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구제역으로 농민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가고 있다”며 “과거 구제역으로 살처분 된 가축의 매몰지에서 침출수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방역에 필요한 인력과 단체가 필요한데, 특전사전우회에서 나서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전사전전우회 신현돈 회장은 "환경은 무너지면 복구하는 데 너무나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며 "실제 방치된 매몰지를 눈으로 보고 문제의 심각성을 느꼈다"고 전했다.

또한 "예방으로부터 사후조치까지 전과정을 정밀하게 살피지 않으면 후손들에게 아픈 땅을 물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특전사전우회 농축산환경개선지원단의 자문위원회 발대식을 통해 (사)한국환경 학술단체연합회 류재근 회장, 본지 김익수 편집대표 등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안경중 박사는 매몰지에 묻혀 있던 썩지 않은 돼지 사체의 일부를 가져와 문제의 심각성을 알렸다.



인력·시스템 부족으로 관리 구멍

포럼 안건 발제에는 김홍중 수의사가 ‘가축전염병 방역시스템 개선방안’, 안경중 공학박사가 ‘가축전염병 전주기 통합 관제시스템 제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홍중 수의사는 “정부·지자체·농장의 유기적 협조로 차단 방역이 이뤄져야 한다”며 “신축 및 리모델링 축사에는 원천적 차단 방지 설계가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보 공유 시스템과 인력 등의 부족이 지적되기도 했다.

안경중 공학박사는 “사전, 사후 시스템이 전부 부실한 상황”이라며 “관리 부실의 매몰지에서 발생하는 제4암모늄염 등은 가습기살균제에 함유된 유해물질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토양 및 수질 오염으로 이어질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로 대기오염을 일으키고, 질산 과다 식물 섭취 시 청색증 등 인체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침출수 방지 목적으로 살처분 가축 저장조를 이용해 매몰하고 있지만, 장기간 밀폐로 가축이 썩지 않고 있거나 파손 후 침출수가 유출되면서 환경오염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안 박사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지능형 저장조, 매몰지 무인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장조 내부 수위, 외부 냄새 등을 실시간 관측해 문제 발생 시 담당자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한 현재 각 지역별 방역 담당자가 2~3명에 불과한 것을 지적하며,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방역 예비군 편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안 박사는 “공무원은 예찰 업무에만 집중을 하고, 관제 역할과 나머지 업무처리는 아웃소싱으로 해결하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한국환경 학술단체연합회 류재근 회장 

jhj@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