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정부가 생태계교란 생물인 뉴트리아에 대한 특별한 당부를 하고 나섰다.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생태계교란 생물인 뉴트리아가 다양한 인수공통 병원체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섭취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야생동물의 간과 쓸개는 살모넬라균 등 다양한 인수공통 세균이나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고 뉴트리아 역시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다양한 병원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러 학술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2014년 대한기생충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견된 뉴트리아에서 뉴트리아분선충(Strongyloides myopotami)과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의 감염이 보고됐으며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 해외 연구 결과에서도 야생이나 사육된 뉴트리아에서 살모넬라균 등 다양한 병원체가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트리아는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를 보유할 우려가 높은 만큼 섭취를 해서는 안 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뉴트리아는 불가리아 등에서 1980년대 후반 모피용으로 국내 농가에 도입됐으나 사육 포기 등으로 일부 개체가 국내 생태계에 방출된 후 강한 생명력으로 농작물 피해나 생태계 교란을 발생시켜 2009년부터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뉴트리아는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20종 중에서 유일한 포유류이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뉴트리아를 100대 악성외래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유럽,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뉴트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영국에서는 1989년에 뉴트리아를 완전 퇴치하는 데 성공했다.


강한 생명력으로 농작물 피해 확대
환경부 장관의 허가 없이 생태계교란 생물인 뉴트리아를 사육·유통하는 것은 금지되며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환경부는 2023년까지 뉴트리아 완전 퇴치를 목표로 유역(지방) 환경청, 지자체 등과 협력해 퇴치전담반과 광역수매제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낙동강 하류 등 뉴트리아 고밀도 지역과 주요 확산 경로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뉴트리아 1만9256마리를 포획했다.


국립생태원이 전국 뉴트리아 서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내 뉴트리아 추정 개체수는 2014년 8700마리에서 2016년 1월 기준 5400마리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충북, 경북, 경남 등에 속한 24개 행정구역에서 발견되던 뉴트리아는 2016년 1월 기준으로 경북 일부와 경남에 속한 15개 행정구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2014년 당시 뉴트리아의 서식 흔적이 발견됐던 남한강 상류, 제주 지역에서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고 있다.


환경부 박천규 자연보전국장은 “최근 뉴트리아 담즙에서 웅담 성분(UDCA)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도된 이후 뉴트리아 섭취에 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야생 뉴트리아는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를 보유할 우려가 높은 만큼 섭취를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뉴트리아를 완전 퇴치할 수 있도록 남은 개체들도 지속적으로 추적 포획하겠다”며 “퇴치반에서 설치한 포획틀의 위치를 무단으로 변경하거나 뉴트리아를 불법으로 사육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TIP
인수공통 병원체 : 동물과 사람 사이에 직·간접적으로 상호 전파되는 전염병을 야기하는 병원체


뉴트리아 광역수매제: 낙동강유역환경청 및 부산, 경남 전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포획한 뉴트리아를 가져갈 경우 마리당 2만원을 지급한다


glm26@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