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정은 기자 = 금강하구가 도요‧물떼새류 최대 17만 마리가 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새 서식지로 나타났다.

국립생태원(원장 이희철)은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금강하구(충남 서천 및 유부도 갯벌) 생태계를 대상으로 ‘국제적 멸종위기 이동성 물새 서식지 수용력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7주 동안 이곳을 찾는 도요·물떼새류 최대 개체수를 합산한 수치가 17만8279마리로 확인됐으며 이들 새들이 번식지까지 가기 위해 필요한 ‘먹이를 먹는 장소(섭식지)’의 면적이 62.5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도요·물떼새류는 매년 봄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찾는 나그네새로 갯벌 등 해안가에 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넓적부리도요, Ⅱ급 검은머리물떼새 등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종은 63종에 이른다. 학술적 용어로 ‘이동성 물새(shorebird)’로 불린다.

먹이를 먹고 있는 붉은어깨도요 <사진제공=환경부>



연구결과 도요·물떼새류는 금강하구에서 평균 40일 정도 머물렀다가 번식지인 북시베리아까지 7280㎞를 이동하며 이동시간은 평균 6.5일, 필요한 에너지량은 1마리당 1268㎉로 산출됐다. 이 에너지량은 성인 남성의 하루 평균 필요열량(2400㎉)의 절반 수준이다.

금강하구에서 서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자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기재된 넓적부리도요를 비롯해 검은머리물떼새, 큰뒷부리도요, 붉은어깨도요 등 24종에 이른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지난 2014년 버즈 코리아(Birds Korea)의 닐 무어스(Nial Moores) 박사 등이 간척사업 이전 새만금에서 도요·물떼새류 개체수가 31만6000마리로 나타난 점을 볼 때 같은 개체수 수준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금강하구 갯벌 면적(약 71.3㎢)의 약 1.6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비행 중인 이동성물새 <사진제공=환경부>



국립생태원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국내 물새 서식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GIS/RS)를 이용해 정량적인 서식지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희철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연구결과 이동성 물새 중간기착지로서 금강하구가 국내 최대 규모의 물새 서식지로 드러났다”며 “향후 서식지 보전에 대한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