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ODA의 비전과 전략' 토론회가 27일 국회서 개최됐다  



[국회=환경일보] 서효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김명자, 이하 과총)과 적정기술학회가 공동 주최한 ‘과학기술 ODA의 비전과 전략’ 토론회가 27일 국회서 열렸다.

 

이번 워크숍은 국가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정부개발원조) 사업규모가 매년 확대됨에 따라, 과학기술ODA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 부처 차원의 전략이 절실한 시점에서 과학기술의 전문성 강화로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총 김명자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ODA 사업영역의 확장으로 이에 대비하는 정부와 과학기술의 역할을 강조하며 “각 부처에 전문성을 더해 제대로 지원하고자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우리나라 과학기술 ODA 현황과 비전’의 주제를 가지고 첫 번째 발제에 나선 단국대 독고석 교수는 “개발도상국 ODA 지원이 국내 외교부 요청에 근거하다 보니 중·장기적 구상 보다는 현실수요에 맞춰 진행되고 있다”며 적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현지 공무원들의 요구나 지침에 따라 수요가 진행되다 보니 모든 주민에게 지원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는 “일본의 JST의 경우 대학교수와 기술자, 연구원 등이 지역 전문가가 돼 적정한 연구자들과 연계를 추진해 현지 문제를 도출하고 있다”며 국외 과제를 발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독 교수는 “한국형 지속가능한 확보모델로서 교육과 R&D, 산업화를 삼각 연계해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과학기술을 전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같은 날 발표에 나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송위진 선임연구원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을 주제로 과학기술의 참여가 혁신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문제 해결형 R&D 운영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사회문제해결형 R&D가 일반 R&D 사업과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회문제 해결형 R&D사업이란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실천 계획’에 의거한 사업을 말한다.

 

송 연구원은 “사회문제 혁신으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프레임을 전환할 수 있다”며 “리빙랩(살아 있는 실험실)과 같은 사용자 참여형 혁신모델로 발굴해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패널토론에 참석한 기획재정부 김윤경 국장은 “정부는 현재 ODA를 증가하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ODA 재원을 충족할 수 없어 민간 부분에 레버리지가 투입되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경쟁력이 뛰어난 IT 분야와 과학기술 분야에서 로드맵 사업, ICT 교육원 건립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국내 내부 시장이 협소한 에너지 분야에서도 태영광·풍력·지열 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shr8212@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