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단지 내 발생 음식물쓰레기의 자원재활용기술' 전시 공간  <사진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이태식, 이하 KICT)은 지난 5월24일부터 26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17 국토교통기술대전’에서 ‘주거단지 내 발생 음식물쓰레기의 자원 재활용 기술’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시제품을 선보이는 등 연구성과를 나타냈다.

KICT 자원순환실증연구단(단장 김현수)이 개발한 본 기술은 주방 내 분쇄기를 거친 음식물 쓰레기를 아파트 지하 공간에 설치된 전처리기 및 처리장치를 통해 대부분 감량시키고, 남은 부산물은 퇴비‧바이오가스・전력 등 에너지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가정 내 음식물폐기물 배출총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기술이다.

해외에서 사용 중인 주방용 분쇄기(디스포저)는 단순히 분쇄 후 배출하는 구조여서 국내에서는 환경오염 문제 때문에 법령으로 규제돼 왔다. 반면 본 기술은 음식물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주거단지 내 자원 선순환으로 재생산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음식물쓰레기 자원재활용 기술은 ▷발효소멸(고속퇴비화) ▷스마트박스(소형혐기소화) ▷건조탄화의 총 3가지 기술이 핵심이다.

음식물쓰레기 자원재활용을 위한 3가지 핵심 기술  <자료제공=한국건설기술연구원>


먼저 발효·소멸(고속퇴비화) 기술은 목질 바이오칩과 분쇄된 음식물을 30~40℃의 온도에서 혼합 발효시켜 소멸 처리하고, 남는 부산물은 숙성시켜 퇴비 혹은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건조탄화 기술은 플라즈마를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뿐만 아니라 조개껍질‧생선뼈‧비닐 등 음식물에 섞여서 배출될 수 있는 폐기물까지 포함해 배출 쓰레기량의 약 98% 이상을 감량할 수 있는 기술인데, 이 기술이 사용된 건조탄화 장치는 하루 80kg 이상의 배출량을 자동 처리할 수 있다.

 

끝으로 스마트박스(소형혐기소화) 기술은 음식물쓰레기를 가지고 2가지 이상의 부산물(온수‧ 퇴비‧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부산물 중 바이오가스의 경우 쓰레기 1톤당 120㎥ 이상의 가스 생산이 가능하며, 설치 부지의 최소화‧시스템 자동운영‧폐기물 발생지 내 바로 처리도 이 기술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이 기술들은 현재 용인 동천 스마트타운(단독주택), 대전 송림마을 4단지, 서울 수서 LH단지, 경기 안산 보뇌르빌리지 단지 등에 적용되었거나 설치 예정이며, 스마트박스를 응용한 자원재활용은 경기도 여주에 있는 특수복합시설을 대상으로 기술실증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김현수 단장은 “폐기물이 자원으로 순환되는 자족형 단지모델이 실증적으로 구현되면 생활환경 기준에 적합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주거환경기술을 국민들에게 제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kek1103@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