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아시아에서도 약 660만명의 이주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일보] 정흥준 기자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100년에는 연간 약 3200조 규모의 피해가 예상된다.

아시아개발은행은 최근 정책연구보고서를 통해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2월 기준 전세계 평균 해수면 높이가 1993년 대비 74.8mm(연평균 3.4mm)가 상승했고, 특히 필리핀은 같은 기간 122mm가 높아졌다. 2100년에는 1990년 대비 0.75~1.9m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해수면 상승은 바다에 인접한 국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특히 작은 섬나라에 큰 비용을 초래한다. 최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한국 연안의 평균 해수면 상승률이 약 8% 증가했다고 분석해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해수면 상승은 ▷토지의 유실 ▷인프라 손실 ▷재난시설 구축 ▷사회적 자본 손실 등 비용 발생으로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관광사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몰디브 등 저개발 도서국가에는 치명적인 악영향이 우려된다.

남태평양의 키리바시는 2050년 경 매년 최대 약 184억원(GDP 대비 10%)의 피해 발생이 예상된다. 미국도 2100년에는 취약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약 1300만명이 피해에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대응전략 ‘이주·수용·방어’로 나뉘어

아시아개발은행은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응전략을 크게 이주, 수용, 방어로 분류한다.

수용은 건물을 높이거나 재배 작물을 바꾸는 등 생활방식을 바꾸는 것으로, 조기경보체계 구축이나 양식업 확대 등을 포함한다. 이 때에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은 계량화에 어려움이 있고, 일부 경제적 효과도 있다.

방어는 제방을 건설하는 등 해수면 상승을 직접적으로 막아내 살던 지역을 지키는 전략이다. 다른 전략 대비 직접적 비용이 가장 많이 소요된다. 도미니카의 경우 GDP 대비 약 3.38%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주는 살던 곳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정착하는 것으로, 직접비용은 2050년 해당 국가별로 GDP의 0~3%로 예상된다. 아시아 지역의 이주 수요는 2050년까지 약 660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주·이민의 경우 비용 뿐만 아니라 언어장벽, 인종 갈등, 일자리 문제 등으로 확산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해안에 접해있는 한국도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국제적 논의에 적극 참여 해야한다”고 전했다.

또한 “국내외 경제·비경제적 영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효과적인 대응체제 구축과 운영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개발은행의 보고서에서는 정책 대응 방안으로 보건·식수·식량·안전 등 관련 이슈 해결을 위한 구체적 대응방안 모색 필요성과 국제 협력 및 관련 지식공유 등을 제시했다.

jhj@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