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정은 기자 =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김영일 연구위원과 정우혁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256호에서 가뭄에 대비해 기존 수원 활용 이외 자체수원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연구원은 “현재 충남도의 생활 및 공업용수가 부족한 것은 아니지만 광역상수도 급수비율이 90.3%로 외부의존도가 매우 높고 시군별 자체 상수원이 적어 비상시 안정적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충청남도 내 광역상수원인 보령댐을 제외하고 대청댐과 용담댐이 충남 밖에 위치해 재해 예방을 위해 집중형 상수원을 분산형 상수원으로 변화시켜가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 2015년 42년만의 가뭄으로 보령댐을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에 제한급수를 실시하는 등 큰 차질이 발생한 바 있고 최근에도 보령댐 물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3월25일부터 보령댐 도수로를 통해 금강의 물을 보령댐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보령댐 저수량이 계속 낮아져 3월25일경 ‘경계’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연구진은 “자체 정수시설을 가지고 있는 공주시와 예산군은 지방상수도 급수비율이 50%가 넘는 반면, 나머지 자치단체들은 지방상수도 급수비율이 매우 낮다”며 “자치단체의 수자원 활용 여건을 고려해 기존에 활용했던 수원(하천 복류수 또는 저수지)을 복원하는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충남도가 각 시군별 자체 수원 확보를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향후 생활 및 공업용수 부족량 확충 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2025년에도 생활 및 공업용수가 부족한 시·군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가뭄 등 비상사태로 인한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각 시군별 2025년 용수수요량의 25%를 여분의 용수목표량으로 설정하고 이 용수목표량을 확보하기 위한 자체수원 마련 원칙을 도입하는 개념이다.

이에 연구진은 도내 물 부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치단체의 기존 수원 복원은 물론 ▷기존 및 신설 농업용 저수지 용수 활용 ▷지하수 관정 및 민방위급수시설 활용 ▷관로연계를 통한 인근 자치단체 여유수량 활용 ▷광역상수도 이원화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