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백서 중 ‘소통·협업을 통한 거버넌스 실현’이라는 정책에서 환경교육을 통한 국민환경의식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환경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국민이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 태도, 가치관 등을 배양하고 실천케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간과 자연 간 올바른 관계를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어린 시절 바른 환경 교육은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은 여전히 입시위주교육에 가로 막혀 있다. 중학교의 경우 1996년부터 환경을 독립교과로 개설해 학교장 재량으로 선택할 수 있고,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간 306시간 이상으로 두고 환경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2015년도 전국 3,227개 중 221개교(6.8%)만이 환경과목을 선택했다. 고등학교의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환경과 녹색성장’으로 확대 개편하고 연간 136시간 이상 환경교육을 가능케 했지만, 2015년도 전국 2,342개 고등학교 중 300개교(12.8%)만이 환경과목을 선택했고 이 마저도 감소추세에 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환경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중·고등학교 5576개교 중 환경을 선택과목으로 선정한 학교는 8.89%인 496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과목을 가르칠 전문교원의 수도 감소하고 있다.

2016년 4월 현재 기간제 교원을 포함한 전국 환경교원의 수는 89명으로 2012년 130명에 비해 감소했다. 학교 재단 이사장과 학교장에 대한 환경교육을 우선으로 하는 것이 더 필요해 보인다.

대한민국의 지금까지의 성공 신화는 교육이 큰 몫을 차지했던 것이 사실이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라는 지구적 과제 앞에서 더더욱 환경교육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구촌 주민으로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어떤 생각과 생활 속 실천이 필요한 지 아이들 부터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반복되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환경교육 확대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면서 교육부에 책임을 떠넘긴다. 교육부 역시 일선 학교들의 선택을 간섭할 수 없다는 핑계를 반복할 따름이다.

오랜 세월 동안 이런 식의 진정성 없는 설명과 책임회피가 이어지면서 미래는 불투명해져가고 있다. 환경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진로교과, 소프트웨어교과가 필수로 도입되는 2018년에는 환경과목 선택 학교와 교사는 더 줄어들 것으로 우려한다.

미국, 호주 등에서는 환경교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과학과 환경’군, ‘지구환경과학’군, ‘환경과 과학’군을 중학교 3년간 17개 단위로 개설하고 있다.

우리도 ‘환경교육’ 대신 ‘지속가능한발전과 환경(가칭)’으로 이름을 바꾸고 기후변화시대 지속가능한발전목표들을 실천하며 새로운 도전의 기회로 삼도록 경제와 사회, 환경을 어우르는 실질적인 교육으로 전환해보면 어떨까.

전 분야에 걸쳐 친환경성을 어떻게 내재화할 것인가 고민하고 방법을 찾도록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환경부가 정책의 실현을 위해 제대로 소통하고 협업하고 있는 지 돌아보고 더 애써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