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택수 기자= 작년 8월 영국 유력지‘인디펜던트’에는 후쿠시마 원폭의 피해 심각성이 보도됐다. 영국 얼스터대 크리스 버스비 교수는 “체르노빌 원전은 한 번의 폭발이지만, 후쿠시마 원전은 지속적으로 방사능이 유출되는 심각한 상황이다”라며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잠정적으로 100만명에 이를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생물학자 팀 무소 교수는 “분명한 사실은 방사능 노출이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연구 결과, 체르노빌 인근의 거미를 비롯한 곤충 개체 수가 감소했고 새들의 뇌도 축소됐음을 밝혀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피해를 입은 사고지역 주민이다. 그들은 망연자실 할 뿐이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청정에너지라는 원전의 실효성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로 주민에게 되돌아 온 것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후쿠시마 사례를 보면 재건비용은 약 330조원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원전은 가동 중일 때 경제적 가치가 있으며 방사능폐기물처리비용과 원전 페쇄 및 재해사고 복구로 인한 경제성까지 가중치를 둔다면 결코 경제적일 수만은 없다.

더불어 원자력발전소가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된 한국 사회에서는 송전탑 문제가 논란이다. 전력소비편익과 전력생산비용의 문제, 송전탑 인근 주민의 피해 보상 등의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다행히 원자력 확대를 추구하는 한국 정부도 고준위폐기물 처리를 위해 공론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통과의례의 공청회가 아니라 책임지는 주체로 국민들을 테이블로 불러들이는 사회적 공론화 방식의 논의가 절실할 때이다.

kt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