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서울힐튼=환경일보] 박미경·정흥준 기자 = 글로벌 의류브랜드 퓨마는 혁신적 패키징을 통해 운동화 포장박스에 들어가는 종이를 65% 줄였으며 공간을 적게 차지해 운송비까지 절감했다. 더불어 환경을 생각하는 브랜드로 이미지를 굳히면서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안에 있는 제품이 손상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키징’의 본 기능은 중요시하되 발상의 전환으로 지속가능한 패키징을 구현한 것이다. 앞으로 많은 기회가 열린 패키징 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대응방안을 알아보자. <편집자주>

 

제품을 선택할 때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제품의 포장(패키징)이다. 소비자의 지갑은 특색 있는 포장과 디자인에 열리기 마련이다. 이제 패키징은 그 자체만으로 브랜드가 되는 시대가 됐다. 소비자의 니즈(needs)가 변화하면서 패키징 트렌드는 ‘친환경’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이 ‘혁신’을 만났을 때 패키징 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와 관련, (주)래티튜드가 주최하고 본지가 후원한 ‘패키징 혁신과 지속가능성 콘퍼런스’가 지난 6월23일 밀레니엄서울힐튼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는 세계의 지속가능성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지속가능한 패키징의 의미를 논의하고, 혁신적 변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친환경 제품 선호해도 실구매 안 이어져

▲ ‘패키징 혁신과 지속가능성 콘퍼런스’가 지난 6월23일 밀레니엄서울힐튼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국내 소비자의 관점으로 본 패키징의 혁신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수행은 소비자들의 재구매, 신뢰도 향상 등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경제적 성과 외에 사회적 책임과 도덕성을 기업에게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정순희 교수는 “최근 한국 소비자들에게도 가치소비 트렌드와 사회적소비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치소비 트렌드에서 소비자들은 높은 가치의 상품을 좀 더 낮은 가격으로 구입하며 만족감을 느낀다.

 

이에 반해 사회적소비 트렌드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하지만 사회적소비 트렌드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패키징의 시장 점유율은 비중이 크지 않다.

 

▲이화여대 소비자학과 정순희

교수

2009년 KT녹색경영연구소의 조사 결과 친환경제품의 선호도는 97.8%인 데 반해 실구매에 친환경성을 고려하는 비율은 4.8%에 불과했다. 친환경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실제 구매로는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가장 큰 요인은 높은 가격 때문으로 보고 있다. 2014년 환경부의 ‘친환경상품 일반국민 의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에 대한 불만 요인으로 48%가 높은 가격을 꼽았다.

 

또한 2014년 다른 조사에서는 친환경 제품이 일반 제품보다 비싼 경우 2명 중 1명이 구입의사가 있는 반면 친환경 포장지는 4명 중 1명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패키징에 대한 친환경 필요성을 소비자들이 덜 느끼고 있는 것이다. 정순희 교수는 “지금까지 포장 폐기물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2014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제품 포장과 관련된 언론 기사를 분석한 결과, 패키징에 대한 논의는 환경적 측면보다 과자와 과대포장, 높은 가격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순희 교수는 “소비자들이 친환경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는 있지만 지속가능성, 녹색이라는 요소가 실구매 요인이 되지 못 한다”며 다른 편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높은 가격과 신뢰도 회복이 급선무

▲Consumer Goods Forum

환경지속가능성팀 이그나시오

가빌란 책임자

소비자의 가장 큰 불만 요소인 높은 가격을 절감시키는 문제가 시급한 가운데 오리온 제과의 경우 2015년 포장을 단순화해 쓰레기 감소와 원가 절감을 동시에 이뤘다. 또한 절감된 원가를 재투자해 과자의 용량을 늘렸다.

 

정 교수는 “친환경 소비의식을 갖추지 않은 소비자조차 합리적 선택을 통해 친환경 포장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격뿐만 아니라 기업은 신뢰를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정 교수는 “소비자들은 국가인증제도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며 “기업은 소비자가 체험을 통해 친환경 포장의 필요성을 체감하도록 설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친환경 포장에 대한 소비자 교육 및 참여 프로그램 등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Consumer Goods Forum 환경지속가능성팀 책임자 이그나시오 가빌란(lgnacio Gavilan)도 “소비자 포럼에 대한 한국의 관심은 아직 미비한 수준”이라며 “친환경 패키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기업의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 기업·정부·소비자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