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지만, 박근혜 정부 들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중고등학교 5576개교 중 환경을 선택과목으로 선정한 학교는 8.89%인 496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 말기인 2012년 622개(11.4%)보다 126개 감소한 것이다.

중고등학교의 환경과목 선택률이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고등학교를 나눠 분석한 결과 과정별·지역별로 더 큰 문제점이 드러났다. 고등학교의 경우 442개(2012년 20.3%)에서 300개(2016년 12.8%)로 평균보다 더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중학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기도의 경우 623개의 중학교 중 9개 학교만이 환경과목을 선택했다. 

더 큰 문제는 환경과목을 가르칠 전문교원의 수도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용득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4월 현재 기간제 교원을 포한한 전국 환경교원의 수는 89명으로 2012년 130명에 비해 약 31.5% 감소했다.

이는 일선 학교들이 전문 환경교사 채용을 꺼리고 과학 등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환경과목까지 함께 맡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환경교육을 전공한 학생들의 신규임용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용득 의원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발암물질 확대 등 다양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박근혜 정부 들어 이에 대한 교육의 비중은 낮아지고 있는 현실”이라며 “환경교육 부재는 우리 사회 지속가능발전을 저해할 심각한 문제”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또한 이 의원은 “정부가 2016년부터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환경교육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야 한다” 며 환경교육 비중 강화를 위한 교육부와의 협의를 촉구했다.

반복되는 지적에도 불구 환경부는 교육부에 책임을 미루고 있다. 환경교육 확대를 위해 환경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실제로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부 역시 일선 학교들의 선택을 일일이 간섭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를 바꾸지 않는 한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